팔이나 다리에 외상이 생기면 쓰라림과 욱신거림이 느껴지지만 상처가 아물면 통증도 사라지곤 합니다. 하지만 외상이 사라져도 극심한 통증이 느껴지는 질환이 있습니다. 오늘은 바로 "복합부위 통증증후군(CRP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복합부위 통증증후군(CRPS)
복합부위 통증증후군은 외상 후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매우 드물지만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신경병성 통증을 말합니다. 통증은 손상의 정도에서 기대되는 것보다 훨씬 더 강하게 발생하며 해당 손상이 해결되거나 사라졌음에도 지속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주로 팔과 다리에 잘 발생하지만 드물게는 다른 신체 부위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당 부위가 주로 화끈거리거나 아리는 듯한 양상의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며 이러한 통증은 미세한 자극에 의해서도 유발되는 경향이 있고 흔히 해당 부위 조직의 부종이나 피부 색깔의 변성을 동반하게 됩니다. 명백한 신경손상이 없는 경우를 1형으로 분류하는데, 이는 반사성 교감신경 위축증에 해당되며 증명할 수 있는 신경 손상이 있는 경우를 2형으로 작열통에 해당됩니다.
40세에서 60세 사이에 가장 흔히 발생하며, 성장기 소아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이 질환을 진단받은 평균 나이는 약 42세 정도이나 어느 나이에서나 발병 가능합니다. 특히 소아(18세 이하)에게 나타나는 복합부위 통증증후군은 대부분 경하게 진행되고 조기에 치료하면 완치율이 또한 소아 복합부위통증증후군 제1형의 경우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더 많이 나타나며 상지에 비해 하지에 5배 정도 더 많이 나타납니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 증상
증상은 서서히 발생할 수 있고 종종 영향 부위의 점진적 경직감,불쾌감, 데이는 듯한 느낌 연약함을 동반하며 시작합니다..그러나 일부 사례에선 증상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며 심각한 통증, 경직감, 극심한 민감도를 보입니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통징은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되며, 주로 다음과 같은증상이 팔, 다리, 손, 발 등 사지에 나타납니다. 상지에는 44~66%, 하지에는 39~51% 정도 발병하며 사지 모두에도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양측으로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통증은 자발통증이 특징적입니다. 특별한 환부에 대한 자극이 없어도 화끈거리고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 전기 오는 듯 하거나 예리한 칼로 베이는 듯한 통증, 쥐어 짜는 듯한 통증 등의 극심한 통증이 특히 팔, 손가락,손바닥, 어깨 부위에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나타납니다.어떤 때는 힌 쪽 무릎 또는 두 다리 모두에 빌생할 수도 있고 , 한쪽 무릎 또는 한쪽 엉덩이에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통증을 동반한 신경 손상으로 잘못 진단될 수도 있습니다. 종이나 붓같이 작은 물체가 피부에 닿아도 극심한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인 통각과민 증상도 나타납니다.
통증은 3~6개월 이후 더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통증이 더욱 격렬해지고 운동 범위는 더더욱 제한되며 이 단계에서 근욱 약화 또한 흔합니다. 일부의 경우 질환의 후기 때 통증의 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른 경우 통증은 일정합니다. 소염진통제에 대한 반응이 적은 편입니다. 근육 진전과 경련이 일어날 수 있고 근육량이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위 측:atroph), , 영향받은 사지의 힘이 크게 감소합니다. 관절 또한 굳어 버리기 쉽고 (힘줄 구축 : tendon contracture) ) 때때로 영구적으로 될 수도 있습니다. 골밀도 또한 감소(골다공증 osteoporosis),, 피부 손상이 발생하고, 손톱에 고량이 생기는 등의 이영양성 변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통증과 다른 점
통증을 조절하는데 마약제제가 잘 듣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체적인 손상에 비해 나타나는 통증은 훨씬 심각합니다.
예상된 치료기간보다 통증이 오래 지속됩니다.
통증에 대한 표현이 독특합니다. 화끈거린다. 타는 듯하다. 칼로 자르는 듯하다. 톡톡 쏘는 것 같다.
신경 분포와 상관없이 통증이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통증을 일으키지 않눈 뮬건이나 환경(종이, 붓, 옷, 이불, 바람, 차가운 날씨, 가벼운 접촉 등)에 노출되었을 때 통증이 발생합니다.→ 무해 자극 통증
가벼운 통증이 예상되는 작은 자극에도 극심한 통증이 생깁니다. → 통각과민(hyperalgesia)
이성 복합부위 통증증후군과 증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