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조산업은 이미 메타버스 공간에서 자신의 화신(아바타)을 조작하여 다른 이용자(아바타)와 함께 상호작용 및 소통하며 경제활동을 포함한 사회생활을 영위할 것입니다. 물리적인 현실 세계의 실생활과 병존하는 "또 다른 세상" 즉 현실과 가상 모두 공존할 수 있는 생활형. 게임형 가상 세계라는 의미로 넓게 사용되는 세상이 메타버스(metaverse)입니다. 오늘은 메타버스가 무슨 뜻인지 미국 게임 플랫폼 "로블록스(Roblox)"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메타버스 뜻
가상세계와 현실이 뒤섞여 시공간의 제약이 사라진 세상, 가공.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가 "메타버스"입니다. 가상현실뿐만 아니라 증강현실(실세계에 3차원 가상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과 라이프 로깅(개인의 일상을 인터넷 또는 스마트 기기에 기록하는 것) 등 현실과 기술이 접목된 분야까지 포괄하는 광범위한 분야를 말하는 개념입니다.
기존에는 비대면 세계와 대면 세계간 경계가 뚜렷했습니다. 비대면 업무라고 하면 코로나 19 같은 비상 상황에 국한된 예기였습니다. 메타버스 시대가 오면 오프라인 사무실이 없어질 수도 있습니다. VR글라스를 쓰면 언제 어디서나 가상 사무실로 접속해 동료 아바타와 회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게임, 업무, 교육 등 메타버스 활용분야는 넓어지고 있습니다.
2021년 3월 16일 미국의 게임 플랫폼 "로블록스(Roblox)"가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상장과 동시에 흥행에 성공하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게임과 게임 개발 엔진, 플랫폼, 온라인 결재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메타버스가 일상화되면 어떤 직업이 새롭게 생겨날까? 전문가들은 "메타버스 건축가"를 뽑고 있습니다.가상 세계에서 공간을 설계하는 일을 맡고 컴퓨터 디자인 그래픽을 다룰 줄 아는 모두가 이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단순히 블록을 쌓아 공간을 만드는 게 아니라 '가상 세계 안 사용자 경험'을 함께 설계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자동차 회사라면 메타버스 안에 전시관을 세우거나 자동차를 마음껏 튜닝해 볼 수 있는 공간을 구상할 수 있습니다. 기업이 의도한 것을 충분히 구현해 낼 수 있는 디지털 설계 감각이 필요한 직업입니다.
아바타 디자이너도 수요가 많아 질 수 있습니다. 예쁘게 만드는 데 그치지 않고 기업 비전과 문화를 상징하는 아바타를 구현하기 위해선 인문학적 소양도 필요하고 아바타가 고객 아바타를 만났을 때 접대하는 방법도 프로그래밍해야 합니다.
아바타를 위한 패션 디자이너, 메이크업 아티스트 같은 직업도 생겨 날 수 있습니다. 아주 작은 픽셀 안에 존재하는 아바타가 입을 옷을 만드는 것도 전문성이 필요한 일이고 가ㅎ퓨싱패션 원단 부자재를 판매하는 업체도 생기고 다양한 가상 원단, 단추, 지퍼 등을 판매하는 스타트업 "클로-셋 커넥트"에는 유명 원단 부자재 회사가 입점해 있습니다. 다양한 질감과 색감의 원단, 부자재 중 원하는 것을 고른 뒤 구매해 가상 제품을 적용하면 된다. 가상세계에서 화장하는 기술을 콘텐츠화해 판매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로블록스( Roblox )
미국의 게임 플랫폼이자 '메타버스'의 대표적인 회사입니다. 2004년 설립된 이 회사는 '미국 초등의 놀이터'로 불립니다. 미국의 16세 미만 청소년의 55%가 로블록스에 가입되어 있고 레고 모양의 아바타를 이용해 가상 세계에서 스스로 게임을 만들거나 다른 사람이 만든 게임을 즐깁니다.
그래서 가상세계를 뜻하는 메타버스의 대표주자로 꼽힙니다. 로블록스는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수혜로 매출이 전년 대비 82% 증가한 9억 2400만 달러에 달했습니다. 2021년 6월 현재 활성 이용자는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1억 5000만 명, 일 평듄 접속수는 4000만 명에 달합니다. 로블록스 안에서는 이용자가 원하는 대로 자신의 캐릭터를 꾸민 뒤 친구들과 게임을 하거나, 몬스터를 사냥하는 등 현실에서 하는 대부분의 일을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가족들과 모여 낚시도 하고 코로나 19 사태 이후 집안에서 홀로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몰리면서 전 세계 이용자 수가 대폭 늘었습니다.
로블록스가 시장에서 인기를 끈 이유는 핵심 사업 모델인 메타버스가 미래를 이끌 기술로 부각되고 있어서입니다.
2021년 3월 10일 직상장을 통해 거래를 시작한 로블록스 기준가 45달러보다 54.44% 오른 69.50달러로 마감해 시가 총액은 371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상장 직후 고평가 논란이 제기됐으나 이후에도 주가가 꾸준히 상승해 2021년 6월 4일 현재 시가총액이 567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주당 매출 비율(PSR)이 엑티비전블러자드, 일렉트로닉아츠, 테이크투 인터렉티브, 젠카 등 다른 게임업체 평균 6배보다 크게 높습니다.

▣ 로블록스(Roblox) 주가

